무선 진공청소기의 전성시대입니다. 삼성전자, 엘지전자 , 다이슨을 비롯하여 차이슨 등 다양한 제품의
무선 진공청소기들이 소비자들에게 유혹의 손짓을 하고 있습니다. 회사들마다 자신들의 제품이 우수하다고
광고를 하지만 서로다른 스펙의 기준으로 비교하기가 난감할 때가 많이 있습니다. 어떤 회사는 흡입력을 W로
다른 회사들은 AW와 Pa로 표현합니다.
1. W(와트), AW(에어와트) 그리고 Pa(파스칼)
각 회사들은 다양한 기준으로 자신들의 제품의 스펙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실제로 비교하기
가 상당히 어려울때가 있습니다. 흡입력을 나타내는 다양한 기준에 대해서 계산하는 방법을 얘기해보겠습니
다. AW(에어와 트)는 AW = KPa X L/s(단위 초당 흘러간 유량 여기서는 공기의 양)으로 나타냅니다.
KPa는 1K = 1000을 의미하므로 1000Pa를 나타냅니다. Pa는 1㎡당 1N(뉴턴)의 힘이 가해지는 것을 의미합
니다. 1N은 질량 즉 무게 1 Kg의 물체를 1m/S^2의 가속도를 발생하는 힘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L/s는 단위 시간당 부피입니다. L= 0.001 ㎥을 나타냅니다. AW=1000Pa X 0.001 ㎥/s입니다. 따라서
1W ≒ 1AW ≒ 100Pa 들은 서로 유사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2. 제품 간의 실질적 비교
삼성전자의 BESPOKE 제트 220의 흡입력은 220W입니다. 엘지전자의 코드 제로 오브제 컬렉션 A9S의 최대
흡입력은 220W이고 다이슨 청소기 Gen5 detect의 최대 흡입력은 262AW입니다. 흡입력만을 보고 고른다면
국내 회사들보다 다이슨의 제품이 우수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정용 전자 제품의 경우는 디자인적 요
소와 활용과 설치 공간 등의 요소뿐 아니라 가격과 A/S의 요소도 감안해야 되겠습니다. 참고로 차이슨 무선 청
소기의 경우 1200Pa경우가 있습니다. 1AW ≒ 100Pa 임을 감안하면 1200pa ≒ 12AW이므로 흡입력으로 가격
대비 성능비를 나타낼 때는 좋은 가성비가 아닙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이에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